기사
양육기 기혼여성의 일・가정 관련 주관적인식 유형(The Type of Subjective Consciousness of Married Woman with Young Children related to Work and Family)
- 개인저자
- 박고은
- 수록페이지
- 225-262 p.
- 발행일자
- 2015.10.23
- 출판사
- 한국사회정책학회
초록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에 있어 M자형 곡선및 경력단절의 문제가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30대를 전후로 급격히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는 양육기 기혼여성들의 일, 가정 관련 주관적 인식을 총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들을 심도 깊이 이해하고자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양육기 기혼여성의 노동참여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일, 가정 관련 주관적 인식을 질적,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40명의 양육기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Q분류를 실시하고 요인분석을 한 결과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각 유형은 그 특징에 따라 다다익선형, 집중적 가정 중시형, 탈출구 탐색형, 공동 역할 조정자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고한유형화 결과들은 해당 생애주기 여성들의 다양한 생각과 욕구를 입체적으로 이해해볼 수 있었다는 의의를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추후 양육기 기혼 여성의 일, 가정 관련 정책을 형성 및 수정하는 데 있어 정책대상자에 대한 이해를 도울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married woman with young children by classifying them by subjective consciousness related to work and family life. To achiev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nalyzes subjective consciousness including value, preference, needs, recognition, attitudes, and beliefs related to work and family which affect their labor participation choice using Q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four types of married women with young children have been found. They are ‘the more, the better’, ‘highly focused on family value and life’, ‘searching for extrication’, and ‘co-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typ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 lot of subjective factors, such as the recognition of the parenting role, meaning of the work and career continuity, husband’s attitude and personalities for child-rearing and household, etc, affect the labor participation choices. This study examined different types of subjective consciousness related to work and family, and analyzed how those types as a configuration of subjective factors make their labor participation choices differ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