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활사업 참여자의 조직헌신이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및 경제적 스트레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Devo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s Stress on Emotional Self-Sufficiency Program) | 엄태영 | 9-34 | 2013.06.30 | - | |
계급·계층이 복지정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변인의 조절효과 연구(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class and the welfare attitudes and regulating effects of education) | 김희자 | 35-68 | 2013.06.30 | - | |
복지국가의 인센티브 문제에 관한 연구(A Study of Incentive Problems of Welfare State) | 전병유 | 69-96 | 2013.06.30 | - | |
가족요양보호사의 발생에 대한 탐색적 연구(A Study on the Emergence of Family-care worker) | 양난주 | 97-129 | 2013.06.30 | - | |
자활참여자의 경험을 통해 본 인문교육의 의미 연구(The Meaning of Humanities Learning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Self-supporting Programs) | 이영환 | 131-167 | 2013.06.30 | - | |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ldcare Expansion and Social Investment in Sweden, France, Germany, the UK, Japan and South Korea | Mi-Young An | 169-193 | 2013.06.30 | - | |
한국 양육수당의 확대는 어떠한 정책형성과정을 거쳤는가?(Policy Network Analysis on Korean Child Care Cash Benefit Expansion) | 이승윤 | 195-232 | 2013.06.30 | - | |
한국 사교육 정책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정치적 분석(The politics of shadow education market expansion in Korea) | 황규성 | 233-260 | 2013.06.30 | - | |
노동시장양극화와 사회통합방안(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and social integration) | 이호근 | 261-304 | 2013.06.3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