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지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저자
- 엄태순
- 수록페이지
- 135-158 p.
- 발행일자
- 2013.12.23
- 출판사
- 한국보건사회학회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 공무원의 직무 만족도, 직무 스트레스, 그리고 우울정도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연구대상자의 우울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 참여자는 편의표집법에 의해 대구광역시 시청, 8개의 구, 군청 및 경상북도 경산시에 근무하는 공무원 274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직무 만족도와 직무 스트레스, 우울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 만족도와 직무 스트레스, 그리고 우울과 인구사회학적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t-test와 일원분산분석, 우울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은 직무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관계갈등, 직무 불안정, 조직 체계 및 보상부적절과 부적상관 관계를 보여주었으며 반면 우울은 직무 만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직무 만족도, 직무 스트레스, 우울,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변수간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는 연령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반면 우울은 연령, 월수입, 근무지와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보상부적절과 직무 만족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 대한 이들의 설명력은 40.6%로 나타났다(adjusted R²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