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성장기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부모폭력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Childhood Experience of Child Abuse on the Adolescent-To-Parent Abuse: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

개인저자
김재엽
수록페이지
5-27 p.
발행일자
2016.03.23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부모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또한 긍정적인 친구관계가 이를 보호하는 요인임을 밝혀냄으로써 청소년에 의한 부모폭력 개입에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9개 중·고등학교 1,60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부모폭력 실태파악을 위해 빈도분석, 성장기 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부모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부모를 가해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조사대상자의 12.8%였으며, 2) 성장기동안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은 조사대상자의 40.6%로 나타났고, 성장기 학대 경험은 부모폭력 가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긍정적 친구관계는 청소년의 부모폭력 가해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나타나, 부모폭력에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대 받는 부모 및 부모를 가해하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제고와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청소년의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통한 사회복지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investigate the prevalence rate of the abuse of parents by their teenage children and the effect of child abuse on parent abuse, 2)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friend relationships on violence toward parents, and 3) provide the implication to the adolescent-to-parent abuse.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a total of 1,601 who a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utiliz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Poisson regression model analysis with SPSS 21.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rist, prevalence of parent abuse were 12.8%. Second, 40.6% of adolescents have childhood experience of abuse, and this experience has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erpetrating behavior toward parents. Lastly, adolescent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friends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erating parent abu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strong need to formulate the multilateral approaching system to the parent who are victims of abuse and perpetrating adolesc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dolescent-to-parent violence problems and intervene effectively in diverse systems.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parent abuse preventive programs and coping strategies are discussed.
동일 권호의 다른 기사
동일 권호의 기사 최대 5건을 제공합니다.권호정보 보기
권/호
제47권 제1호 2016년 3월
발행일
2016.03.23
구독상태
기사명저자페이지내용보기
성장기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부모폭력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Childhood Experience of Child Abuse on the Adolescent-To-Parent Abuse: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김재엽5-27
사회복지종사자의 공동의존성과 소진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level of codependency among social work related professionals and its effect on their burnout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ex-role attitude)장경호29-56
지역의 고용 및 산업 구조와 빈곤의 관계(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mployment and Industrial Structure and Poverty of the Region)백학영57-92
뇌병변 장애자녀 어머니들의 사회복지제도 속에서 생존하기(Survival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Growing from Passive)조유진93-121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perception of psycho-social aging for older adults: focused on perceived health status, mental health,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literacy)정순둘123-149
저자의 다른 기사
동일 저자의 최근 기사 최대 5건을 제공합니다.
기사명저자발행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