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정신보건법 개정 담론에 근거한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주요 쟁점 분석(Discourses on Mental Health Act Revision and Critical Analysis on Mental Health Promotion and Welfare Service Support Act)
- 개인저자
- 김문근
- 수록페이지
- 85-111 p.
- 발행일자
- 2016.09.23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초록
본 연구는 정신보건법의 전면 개정 법률인 정신건강복지지원법(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의 주요 쟁점을 분석하고, 그 함의가 무엇인지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첫째, 정신보건법 개정과 관련한 주요 담론인 인권담론, 사회복지담론, 예방담론의 구체적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둘째, 정신건강복지지원법의 주요 쟁점을 분석하고 함의를 논의하였다. 정신건강복지지원법 주요 쟁점 분석결과 이 법률은 정신질환자 개념이 축소되어 장애인복지법의 정신장애인 개념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입원규정은 비자발적 입원요건을 강화했으나 정신질환자의 주체성을 강화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서비스는 도입하였으나 장애인복지서비스의 핵심 가치인 장애인의 당사자주의와 같은 핵심적 가치는 부정하고 있었다. 정신건강증진은 예방, 치료, 재활, 복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되어 정부 정신건강정책을 포장하는 상징적 성격이 강하고, 예방에 관한 초점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보건법과 정신장애인복지지원법의 기계적 결합으로 내적 가치, 원리, 개념의 불일치라는 한계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major changes of Mental Health Promotion and Welfare Service Support Act(MHPWSSA) and critically discuss these changes based on the major discourses on Mental Health Act revision. For this purposes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s and government reports to understand human rights discourses, welfare discourses, and prevention discourses. Secondly, the major changes of MHPWSSA were analysed and discussed based on those discourses. This study found that MHPWSSA defined the concept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narrowly, tightened the involuntary admission procedures, introduced welfare service support provisions and mental health promotion provisions. But this study shows that the new legislation may well be criticised due to neglect of the concept of disability and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involuntary admission without mental capacity assessment, neglect of the basic values and principles of self determination and independent living common in welfare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y. And the new legislation may be criticised due to overuse of the concept of mental health promotion as encompassing promotion, preventi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