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childhood-adolescence trauma on the suicidal ideation in adult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 개인저자
- 박은아
- 수록페이지
- 223-249 p.
- 발행일자
- 2016.09.23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외상 후 성장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대에서 40대까지 일반 성인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절회귀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을 많이 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성장은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성장이 낮은 집단에서는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증가 할수록 자살생각의 증가 또한 강하게 나타났으나, 외상 후 성장이 높은 집단에서는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증가해도 자살생각의 증가폭은 완만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 대상자의 개입의 필요성과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실천적 전략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growth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151 adults in their 20's to 40's were utilized by analyzing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To be specific, the more childhood-adolescence trauma increased, the more suicidal ideation increased. Second, the results presented that posttraumatic growth moderated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The more childhood-adolescence trauma increased, the more suicidal ideation strongly increased in group of lower posttraumatic growth. Whereas, the more childhood-adolescence trauma increased, the more suicidal ideation mildly increased in group of higher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for people who have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practical strategy for posttraumatic growth are needed in social welfare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