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적 능력, 심리적 자본, 지속경력학습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Professional Capability,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on the Job Performance among Practitioners of Child Welfare Centers)

개인저자
문영주
수록페이지
113-141 p.
발행일자
2017.03.23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초록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최일선에서 아동을 보호할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연계를 통해 아동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방과 후 돌봄의 중심기관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이제 지역아동센터가 양적으로 성장하면서 질적ㆍ체계적ㆍ전문적으로 운영하도록 요구받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적 능력, 심리적 자본, 지속경력학습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6년 3월 2일부터 3월 25일까지 부산ㆍ경남의 지역아동센터 총 460개소에 근무하는 시설장과 실무자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회수된 설문 가운데 성실히 응답한 55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수행에는 심리적 자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시설장 집단에서는 전문적 능력을 갖출수록 직무수행도가 높아지지만 생활복지사 집단에서는 전문적 능력이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심리적 자본을 확충하는 것이 가장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의 조직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Child welfare centers not only protect children at the first line of community, but also perform the tasks of systematic social service by linking the various resources of community and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for children. Making quantitative growth, child welfare centers are faced with a request for operational systemicity and professionalism in terms of quality.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apability,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on the job performance among practitioners of child welfare center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by mail with those who were working for child welfare centers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from March 2 to 25, 2016.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550 whose responses were sincere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psychological capital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 among practitioners of child welfare centers. Furthermore, in the chief of child welfare centers, the more having of professional capability, the more job performance they experienced. However, in the front-line social workers, professional capability did not affect the job performance. Tho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ansion of psychological capital should be a top priority to help the practitioners of child welfare centers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offered some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of child welfare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