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후 퇴사한 여성의 퇴사과정과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Study on the resignation backgrounds of female workers leaving work after parental leave) | 서정미 | 5-42 | 2016.12.23 | - | |
빈곤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빈곤층의 실태에 대한 연구(A Study on the Poor Residing in the Deprived Areas : Double Poverty, Neighborship, and Mental Health) | 탁장한 | 43-69 | 2016.12.23 | - | |
장애인 활동보조인 교육의 IPA 분석(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of personal assistants education for the disabled : Focused on management in Pyeongtaek, H university) | 정소영 | 71-92 | 2016.12.23 | - | |
공공사회복지서비스 전달의 지역별 차이(Regional Disparities of Demand and Supply in Welfare Service Delivery) | 신나래 | 93-120 | 2016.12.23 | - | |
단도박자의 감각 회복 체험(The Experiences of Gambling Abstinences' Sense Recovery) | 강준혁 | 121-150 | 2016.12.23 | - | |
남성 청년의 노숙진입 시기에 따른 노숙 경로(Pathways to homelessness: The case of young adults in Korea) | 김소영 | 151-181 | 2016.12.23 | - | |
반수로 대학에 진학한 후기 청소년들의 진로발달 경험(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Youth in Late Adolescence who Entered a Different University after Taking a Semester off) | 김서현 | 183-216 | 2016.12.23 | - | |
복지국가의 재정적 지속가능성 결정요인(The determinants of Fiscal Sustainability of Welfare State) | 고혜진 | 217-254 | 2016.12.23 | - | |
성폭력 피해특성에 따른 피해경험자 유형화와 지원 서비스 이용양태 연구(Profile of sexual violence experiences among the survivors using victim support services in Korea) | 김기현 | 255-280 | 2016.12.23 | - | |
바우처 제도의 이용자 선택권 강화가 돌봄노동자에게 미친 영향과 그 의미(Enhanced User Choice of Voucher Program and its Impact and Implications on Care Worker) | 김송이 | 281-307 | 2016.12.2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