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고령사회의 삶의 질 향상 기반구축 방안(Policy Measure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Persons)
- 개인저자
- 정경희
- 수록페이지
- 18-27 p.
- 발행일자
- 2011.02.14
- 출판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 제시되고 있는 고령사회의 삶의 질 향상 기반구축방안은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노인인구의 규모 증대와 노인의 특성변화, 특히 베이붐 세대의 노년기 진입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기존의 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제2차 고령사회 기본계획은 사회시스템의 체질개선을 정책목표로 하여 사후적 노인복지정책에서 사전예방적 정책패러다임으로의 전환과 65세 이상 노인과 취약노인 중심에서 고령자(베이비 부머에 대한 관심)과 중산층 노인 등으로 정책대상을 확대하고 기본생활중심에서 다양한 사회참여기회제공으로 정책관심사를 확장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다.
고령사회의 삶의 질 향상 기반구축방안 부문은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 대응체계 구축, 안정되고 활기찬 노후생활 보장, 고령친화적 사회환경 조성의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추진해야 할 78개 과제가 제시되었으며 이중 중점과제로는 ‘기업-고령자 친화적 임금피크제 활성화’ 등 17여개가 제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