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한국복지패널 활용방안(Korea Welfare Panel Utilization Strategy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개인저자
김계수
수록페이지
61-67 p.
발행일자
2012.05.19
출판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패널조사는 생애주기별 동태성을 파악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이다. 본 연구는 4차년도까지의 한국복지패널의 교차타당성을 검증해 보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방법중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복지패널 데이터의 활용을 촉진하고 관련 실무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확인적요인분석에 이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방법을 실시하였다. 모형이 간명하며 적합도가 우수한 모형8이 최종모형으로 선정되었다. 우울감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이고 이전 시점의 우울감이 이후시점의 우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이고 이전시점의 자아존중감이 이후 시점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복지패널은 국민의 복지관련 종합 보고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동태적으로 지속 관찰하고 분석에 적합한 방법이 구조방정식의 잠재성장모델이다. 한국복지패널 자료의 잠재성장모델 분석을 통해서 국민의 복지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전략과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