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미국의 임신위험요소감시체계(PRAMS) 고찰(Pregnancy Risk Assessment Monitoring System)

개인저자
최정수
수록페이지
61-69 p.
발행일자
2012.09.19
출판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임신․출산과 관련한 제 환경의 변화로 인해 나타나고 있는 출산율 저하나 고위험신생아 발생 증가는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현상은 아니며, 이를 앞서 경험한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신생아건강에 대한 구체적인 국가목표를 설정하고 위험요인에 대하여 감시하고 개선시키는 활동을 펼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그 일환으로 미국의 임신위험요소감시체계(Pregnancy Risk Assessment Monitoring System; PRAMS)는 25년여 동안 추진되어 오면서 위험요소의 규명과 그 추이에 대한 보고를 통해 효과적인 정책수행의 기틀을 마련함과 동시에 국민의 이해를 증진시켜 건강아출산(Healthy Birth Outcomes)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PRAMS의 추진 및 활용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특히, PRAMS의 국민건강증진목표와 평가에 대한 적용, 임신위험요소감시결과의 주 정부 간 비교, 근거에 기반한 질문내용 등은 전략적 지침으로서 훌륭히 역할할 것이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