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노후준비 관점에서 바라본 건강 및 사회참여 준비 현황과 시사점(Korean Baby Boomers’ Preparedness for Later Life)
- 개인저자
- 염주희
- 수록페이지
- 21-31 p.
- 발행일자
- 2013.10.01
- 출판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우리나라의 노후준비 수준은 매우 미흡한 상황이지만 그 중 건강 차원에서의 노후준비는 타 영역 대비 상대적으로 중요성과 준비성이 높은 영역이다. 또한 건강영역의 노후준비 시작시기는 40대부터 시작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경제적 이유로 건강영역 노후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참여 영역에서의 노후준비 수준은 타 영역 대비 중요도와 준비도 모두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3 이상이 저관여-소극적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본 고에서는 건강과 여가 및 사회참여 영역의 노후준비 현황 및 지원정책을 바탕으로 전생애적 노후준비, 노후준비 지원정책의 접근성 향상, 복합적 차원에서의 노후준비 지원, 균형적 노후준비, 예비노년층의 욕구파악을 통한 노후준비 지원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