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대응 방향 모색(An Outlook for Social Changes in an Aged Korea: Implications from the Japanese Care)

개인저자
이윤경
수록페이지
9-17 p.
발행일자
2017.12.01
출판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2018년은 65세 이상 고령자의 비율이 14%에 도달하여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의미 있는 시점이다. 인구고령화는 사회문제가 아닌 사회현상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인구구조의 특성이다. 전세계적으로 2060년까지의 인구고령화를 예측한 결과 이미 고령화가 진행된 유럽 국가들과 함께 일본, 한국, 싱가포르 등의 동아시아 국가들이 급속한 고령화를 경험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한국의 고령화는 일본과 매우 유사한 특성을 보이면서도 그 속도는 더 빨라 2045년 이후에는 고령화율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초고령사회를 경험하고 있는 일본은 사회 전 영역에서 고령화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고령자 규모 확대와 후기고령자 증가로 사회보장비가 늘어나고 새로운 사회적 이슈가 등장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는 고령사회 대응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 일본의 경험과 함께 현재 우리나라 고령자가 겪고 있는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
동일 권호의 다른 기사
동일 권호의 기사 최대 5건을 제공합니다.권호정보 보기
권/호
2017년 12월 (통권 제254호)
발행일
2017.12.01
구독상태
기사명저자페이지내용보기
고령사회 도래와 미래 준비에 대한 단상김근홍2-7
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대응 방향 모색(An Outlook for Social Changes in an Aged Korea: Implications from the Japanese Care)이윤경9-17
노인복지정책 진단과 미래 발전 방향(Policy Issues and Strategies Regarding Welfare Policies for Older Persons)정경희18-36
고령사회의 돌봄 대상 노인 확대에 따른 정책적 대응(Policy Responses to the Increased Need for Elder Care in an Aged Korea)선우덕37-49
고령사회 대응 중고령자 인력 활용(Making Use of Older People's Human Resources in an Aged Korea)오민홍50-66
저자의 다른 기사
동일 저자의 최근 기사 최대 5건을 제공합니다.
기사명저자발행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