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영국 사회서비스 인력 현황 및 정책동향 /
- 개인저자
- 김은지
- 수록페이지
- 85-99 p.
- 발행일자
- 2008.08.28
- 출판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영문]우리나라에서는 2007년부터 4대 바우처 사업을 중심으로 사회서비스를 확충하고 이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왔다. 사회서비스 바우처 사업 1년 운영의 결과, 이용자의 만족도가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인력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 이용자가 원하는 만큼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점이 과제가 되고 있다. 영국은 사회서비스, 특히 사회서비스 인력의 현대화 정책을 위하여 관련 보고서를 발간하고, 법안을 제정하고, 주요 기구 정비를 통해 인프라를 구축하였으며 National Minimum Data Set for Social Care(NMDS-SC)라는 통계 체계를 마련하였다. 또한 보건부(DH)는 사회서비스 인력 운영 정책 비전을 설정한 Options for Excellence(2006) 이후 중간보고서로 2008년 6월 Putting People First(2008)를 발간하고 성과와 과제를 점검하고 우선순위 과제를 제시하는 등 사회서비스 정책의 핵심 축으로서 인력정책을 실행해오고 있다. 본 글에서는 주요 기구의 보고서 및 NMDS-SC 자료를 통하여 영국 사회서비스 인력의 현황과 최근 관련 정책 동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영국의 사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사회서비스 인력의 교육·훈련 체계 정비, 채용·유지를 위한 고용정책 관련 시사점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