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유비쿼터스사회에서의 e-Welfare, u-Welfare 개념 및 발전모형 /

개인저자
정영철
수록페이지
48-66 p.
발행일자
2008.08.28
출판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영문]e-Welfare는 ‘정보기술(인터넷)을 통해 사회복지정보 및 서비스가 전달, 교환되는 상태, 환경 및 이로 인한 사회복지전반의 행태변화’로 사실상 기존의 사회복지정보화와 별개의 개념이라기보다는 ‘e-’가 의미하는 즉, 인터넷이 지향하는 제반 가치체계에 따라 재정리함을 의미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u-Welfare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적용 가능한 유비쿼터스 개념에 따라 사회복지서비스의 통합(융복합)과 지능화된 맞춤형 서비스가 강조되고 무자각, 비가시적(invisible) 또는 조용한(calm)형태의 서비스를 일컫는다. 그러므로 e(u)-Welfare 모형이란 정보기술 그 중에서도 인터넷 및 유비쿼터스기술을 적용하여 사회복지서비스통합을 실현하기 위한 정보화모형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서비스전달과 통합, 다양한 복지욕구와 수요에 맞는 복지서비스 제공이 강조되고 소비자의 욕구 파악, 이력관리 뿐 아니라 다양한 복지자원에 대한 파악과 공유를 기반으로 하여 서비스공급자간, 공급자와 소비자간 원활한 의사소통 및 연계, 협력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e(u)-Welfare 정보화모형은 복지전자정부 구축에 있어 유비쿼터스 개념에 입각하여 좀 더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다소 기능적인 측면으로 첫째 ‘공공장소에서의 터치스크린 혹은 가정 내 IPTV를 이용한 주문형 복지서비스 검색 및 신청모형’, 둘째, ‘인터넷채팅을 통한 전문상담/연계 모형’, 셋째, ‘현장 복지업무담당자를 위한 u-Work 모형’, 넷째 ‘RFID에 기반 한 시설관리, 위치안내서비스를 접목한 요보호대상자 관리모형’, 마지막으로 ‘상황인지정보를 활용한 댁내(시설) 안전관리모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모형들은 복지전자정부 구축에 있어 복지전자정부포털 및 공공/민간 관련서비스시스템의 각종 기능에 적용하여 지능화, 맞춤화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유비쿼터스 복지전자정부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