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결혼 이주여성의 모자보건 및 모자영양 현황과 정책과제 /
- 개인저자
- 김혜련
- 수록페이지
- 50-64 p.
- 발행일자
- 2009.09.28
- 출판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영문]인구의 구성과 변화 양상은 우리사회의 미래이다. 1990년대 이래 한국사회에서 국제화, 지역별 혼인수급의 불균형 등으로 국제결혼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우리나라도 다문화사회로 이행되어 가고 있다. 한국인 남성이 외국의 신부를 맞이하는 국제결혼의 증가는 비교적 젊은 결혼 이주여성들의 대규모 유입이라는 현상적 측면과 아울러 그 자녀들의 보건복지 요구, 전체 인구자질 측면에서도 장기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특히 국제결혼 이주여성은 이중 문화 속에서 결혼과 동시에 적응에 앞서 임신, 분만, 출생아 양육을 거치면서 문화적인 차이로 다양한 건강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모성과 출생아의 건강서비스 요구가 높은 집단으로 이들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기본적인 모자보건 및 영양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임신기의 건강은 출생아의 건강은 물론 성장후 성인기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어, 장래 다문화사회에서 건강한 인구를 확보하고, 인구의 자질을 높이고 다양한 인구집단간의 건강수준의 격차를 사전에 줄이기 위해서도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건강보호를 위한 장기적인 목표의 설정과 체계적인 사업의 시행은 중요한 인구보건 정책과제로 대두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