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잡 크래프팅의 선행요인과 일 관련 결과에 대하여(Job Crafting:Comprehensive Model of Voluntary Job Redesign)
- 개인저자
- 강혜선
- 수록페이지
- 29-61 p.
- 발행일자
- 2015.09.30
- 출판사
- 한국노동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이 유발하는 조직 관련 결과를 밝히고, 잡 크래프팅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구와 사회적 자원, 개인 차이 변인의 영향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중국에 위치한 5개 기업의 남녀 종업원이며, 총 234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잡 크래프팅 행동은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시키기, 사회적 자원 증가시키기,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시키기, 방해가 되는 직무요구 감소시키기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 방해가 되는 직무요구 감소시키기를 제외한 세 가지 유형의 잡 크래프팅 행동은 대체적으로 개인-직무 적합성 및 정서적 조직몰입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잡 크래프팅 활동을 유발하는 선행변인들로서 직무요구 및 사회적 자원과 개인 특성-주도적 성격, 자아 효능감, 직무에 대한 내재적 동기-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점이나 연구의 의의,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seek to learn of the related antecedents and outcomes for individual workers job crafting activities. For this, we identify the variables of work condition such as job demands and social suppor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proactive personality,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as determinants of job crafting activities. And we also verify the impacts of job crafting on the positive outcomes such as person-job fit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that we proposed to relate with job crafting, we could see some significant relations. Fist, the results shows that the employees who tend to do job crafting more have higher level of person-job fitness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consistent with our hypothesis mostly. And the relationships of work conditions such as job demands and social supports and job crafting are also consistent with our assumption proposed earlier mostly. However, There were some inconsistencies. And it is required for future studies to consider other variables which would affect the intention to do job crafting. In addition to this, we found some opposite and non-significant relations for our assumption. Although this paper contribute to the organization literature by identifying critical antecedents and outcomes associated with job crafting, some inconsistencies needs to be tested and explained clea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