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수학실력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Math Abilities and Attitude on the Labor Market Outcomes:Focus on Gender Wage Gap)

개인저자
임찬영
수록페이지
25-60 p.
발행일자
2015.12.30
출판사
한국노동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자료와 2005년 대입 수능(CSAT) 수리표준점수를 이용하여 수학실력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그 효과가 남녀 임금격차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능 수리 1등급 상승은 시간당임금 기준으로 약 1.6%의 임금상승 효과를 보였고, 표본을 4년제로 제한할 경우, 임금상승 효과는 2.4%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수학실력이 남녀 임금격차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는 수학 관련 요인이 차별적 격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남녀 임금격차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임금격차 완화를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제도개선과 함께 수학에 대한 학습동기를 키워주고, 수학 활용 직업에 대한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등의 교육정책 역시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여성이 다양한 분야에서 인적자본투자를 행하고, 이공계 여성인력을 확보하며, 양성평등을 달성함으로써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wage impact of math skills and how it works male and female wage gap. This study uses data from Korean Education qqqamp; Employment Panel (KEEP)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in 2005. The main finding is better math skills have higher wages. The one grade rise of math score of CAST increases about 1.6% pay rise based on hourly wage. And it have 2.4% pay rise effect in the 4-year college sample. Math abilities and interests reduce the wage gap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labor market. To alleviate gender wage ga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eed some improvement of education policy such as the enhancing math interests and job design in the fields of mathematics. It can be contribute to cultivating female work force of science and engine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