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신체 장애인의 경제활동상태 변화가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Changes in Economic Activity of the Physically Disabled on the Self-Rated Health: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개인저자
- 문성제
- 수록페이지
- 217-239 p.
- 발행일자
- 2017.08.28
- 출판사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연구문제: 본 연구는 신체 장애인의 경제활동상태 변화가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과 동시에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제 1-8차 자료 중 신체 장애인 3,15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경제활동상태 변화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test/ANOVA, 시계열 그래프를 사용하였다. 또한 두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8년 동안 미취업상태를 유지한 장애인들에 비해 취업을 유지한 장애인 또는 미취업에서 취업으로 전환된 장애인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첫 조사부터 현재까지 동일한 경제활동상태를 유지하지만 그 사이 실업전환 또는 취업전환을 경험한 장애인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은 전적으로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8년 동안의 취업 유지 또는 미취업에서 취업으로의 전환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는 자아존중감이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사점: 본 연구는 신체 장애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적합한 경제활동상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더불어 장애인 스스로가 느끼는 사회적 가치 향상을 통해 건강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hanges in economic activity of physically disabled on the self-rated health, and also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Method: Using the data from the 1-8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3,226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according to the changes in economic activity was confirmed by t-test / ANOVA, time series graph,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ompared to the disabled who have been unemployed during the whole survey period, the disabled who maintained the employment for 8years or who are currently employed but not in the first survey had significantly higher self-rated health. Also,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t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self-rated health among the disabled who have maintained the same economic activity status for 8years, but experienced unemployment or employment at least once during the period. Moreover,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self-rated health of the disabled who were employed for 8years or changed from unemployment to current employment. Conclusion: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appropriate economic activity direction for the health promotion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and it is meaningful to seek the policy direction that can raise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by improving the self-esteem of disabled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