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장애인과 저축

개인저자
윤상용
수록페이지
101-124 p.
발행일자
2012.08.27
출판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과 자산축적행위로서 저축과의 상호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 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패널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하여 종단분석을 통해 장애인 가구의 저축액 변화 결정 요인과 저축액 변화가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장애인 대상의 자산형성지원제도 도입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장애인고용패널 데이터의 2008년과 2010년의 변화량을 분석자료로 하여 다항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애인과 저축과의 상호적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우선, 장애인 가구의 저축액 변화 결정 요인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 변수로는 제도적 요인으로서 기초보장수급 여부, 개인적 요인으로서 가구소득과 소득분위, 보건의료비, 차량유지비, 노후대비 여부, 성별, 고용상태 및 부의 학력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구 경제상태와 장애인의 고용상태 등에서의 긍정적인 변화가 저축액의 증가 및 유지를 가져오는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저축액의 변화가 장애인의 고용상태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 다항로짓분석에서는 저축액이 장애인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 중의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저축액의 긍정적인 변화가 장애인의 고용상태를 개선하고 생활만족도를 제고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자산형성 지원 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실증적인 측면에서 일정 수준 타당성을 확보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