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고등학교 완전통합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 및 진학 지도 현황과 개선 방안
- 개인저자
- 정주한, 한경근
- 수록페이지
- 77-111 p.
- 발행일자
- 2012.11.27
- 출판사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내용본 연구는 고등학교 일반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 및 진학 지도 현황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완전통합학급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담당 교사가 적절한 진로 및 진학 지도를 하는 데에 필요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고등학교 완전통합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담임교사로 하였고, 총 275부의 설문지가 연구 자료로 활용되었으며 설문지는 2011년도에 국립특수교육원이 실시한‘특수교육 실태조사’조사표를 기초로 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의 학생과 달리 개별화교육지원팀의 구성, IEP 작성, 직업전환교육지원센터 및 특수교육지원센터와의 연계 등이 60% 이상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또한 장애 유형 및 정도에 따라 활용할 진학 및 취업에 대한 진로 자료가 접근성 높게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개인차를 고려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수학급 설치 유무와 직업전환교육지원센터?특수교육지원센터 이용 여부,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 여부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및 진학 지도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장애 유형 및 정도에 따른 적절한 진학 및 취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전문성 있는 진로 및 진학 담당자, 그리고 담당 부서 지정이 필요하며, 직업전환교육지원센터 및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활용 안내가 필요하다. 또 법으로 지정되어 있는 IEP 작성 및 개별화교육지원팀의 구성 등이 완전통합학급 학생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