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다중요소중재를 활용한 직업교육이 지적장애 학생의세차 직무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The Effects of Vocational Education Using Multiple Components Intervention onCar Wash Skill Training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개인저자
- 김희주
- 수록페이지
- 55-78 p.
- 발행일자
- 2015.02.28
- 출판사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세차 직무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중요소중재를 활용한 직업교육을 실시하였다. 세차 직무기술의 하위기술로 12단계의 과제분석을 통해 각각의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고, 반응촉진법, 시각적 단서, 비디오 모델링을 연합한 중재를 제공하였다. 연구대상은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세 명으로 세차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다. 실험은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기초선-중재-일반화-유지 단계의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 다중요소중재를 활용한 직업교육이 세 명의 지적장애학생의 세차 직무기술 습득에 효과가 있었고, 중재 시 사용한 차종과 다른 차종으로 실시한 일반화 단계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가 종료된 지 3주 후에도 습득한 기술이 유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를 위한 직업교육을 다중요소중재를 활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세차 직무기술 수행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the Car Wash Skill Training by providing a task analysis procedure to three high school-aged students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ask analysis was developed by a special education teacher, professional car wash attendant, and three special education university faculties. The tasks listed from task analysis was used to measure the target car wash behaviors. A time-delayed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employed to analyze a potential relation between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the percentage of tasks which the participant independently and accurately complete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Car Wash Skill Training during which the instructor implemented response prompt, visual prompt (e.g., self-checklist), and video modeling procedures. The experimental sess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across 6 month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ar Wash Skill Training was effective for all participants to acquire, generalize, and maintain the target car-wash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