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근로지원인 서비스를 이용한 중증장애인의 일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Working Experience of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Who have Experienced in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in Workplace)
- 개인저자
- 박은순
- 수록페이지
- 47-77 p.
- 발행일자
- 2017.05.28
- 출판사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근로지원인 서비스 이용 경험이 직장에서 그들의 일 경험을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내부자적 관점에서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심리학적 현상학인 Moustakas(1994)의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근로지원인 서비스 이용자의 일 경험에 대한 본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중증장애를 가지고 일을 하는 과정에서 장애로 인하여 업무상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근로지원인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들의 일 경험은 업무상의 불편함이 많이 해소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처음에는 일이 생계수단이었지만 지금은 경제적인 힘의 근원을 넘어 타인을 돕거나 자신의 성장의 기회로 생각하고, 일하는 것 자체를 즐기기도 한다. 결론 및 시사점: 근로지원인 서비스는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업무수행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으며, 중증장애인이 직장에서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근로지원인 서비스는 꼭 필요한 제도이다.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진정한 자립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는 제도인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he workplac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experience of workers with severe disabilities changed their work experience in workplace from the emic perspective. Method: To achieve that, this study used the approach of Moustakas(1994) as psychological phenomenology to explore the essence of the work experience of workplac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users. Results: As a result, study participants with severe disabilities had many difficulties with jobs because of their disabilities, and the work experience of workplac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user greatly solved their inconvenience of jobs. At the beginning, the study participants considered a job to be a means of living. However, they regard it as an opportunity to help out others and develop themselves, beyond the source of economic power and enjoy their job. Implications: In conclusion, the workplac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help workers with severe disabilities perform their jobs, and is an essential system for them to perform their jobs at workplace smoothly. The service should be provided in order for the disabled to live in communities independ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