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주관적 삶의 질(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개인저자
김승호
수록페이지
173-195 p.
발행일자
2016.11.28
출판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주관적 삶의 질의 각 수준 및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지체장애성인 200명을 대상으로 사회참여와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인식 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체장애인의 변인별에 따른 사회참여 수준에 대한 결과는 직업의 유무, 보조기기의 사용 여부, 운전여부, 결혼상태, 학력수준, 주관적 사회경제지위, 건강상태, 일상생활 수행의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인식 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체장애인의 변인별에 따른 주관적 삶의 질 수준의 결과 전체 참여 수준은 직업, 결혼상태, 학력, 사회경제지위, 현재건강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주관적 삶의 질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를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주관적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To this end, 200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in general attained average on the criterion of full marks 5. In detail, the item of family life, one of seven sub-factors, showed a little higher than average, and that of socio-economic life did lower than average. Second, the level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on average. In detail, the item of friends-, social- relationship and famililal-, relative relationship among six sub-factors proved a little lower than average, while ritual and economic factor was lower than average. Thir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Conclusion: Conclusively, to arouse the social participation as well as subjective identity on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ractical labor policies were needed to promote their vocation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