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자폐성장애 성인의 고용 맥락에서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ir Experiences Related to Social Communication in the Employment Context)
- 개인저자
- 민기연
- 수록페이지
- 197-232 p.
- 발행일자
- 2016.11.28
- 출판사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최근 들어 성인기 자폐성장애인의 고용, 여가, 지역사회 참여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성인기의 자립생활을 위한 고용 지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성인의 고용 맥락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들의 고용 경험 자체와 고용환경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 논의를 통한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학교 행정 도우미 및 도서관 사서보조로 취업 중인 자폐성장애인 4명과 이들의 직장동료 4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진행했고, 고용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경험에 초점을 두고 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자폐성장애인에게 직장은 사회·경제활동 참여와 삶의 만족을 부여하고 있었고, 장애 특성이 이들의 직장생활 전반에 어려움을 경험하게 하여, 적절한 지원이 제공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용환경의 커뮤니케이션은 업무와 관계 측면에서 나눠 살펴 볼 수 있었고, 자폐성장애인의 고용과 관련한 전반적인 지원요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Recently, problems of adults with ASD, concerning their employment, leisure, community participation, etc., have received interest becaus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ose with ASD has been increasing. specifically, the importance of hiring employees with ASD to facilitate their independent living is being emphasized up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work-life experience of adults with ASD, with special reference to social communication. Through thi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s the difficulties in the social communication that they face in their work environment, and to seek effective support measures through discussions. Therefore,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people with ASD and four of their work colleagues.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focused on the employment and social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participants. For adults with ASD, work provides chances of participating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and leads to satisfaction with their current life. The characteristics of ASD influenced the work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general, and in order for them to retain their jobs, employees’ consideration supports are necessary. The communication that people with ASD experience in the working environment could be observed in two contexts: work related aspects and relationship aspects. Lastly, the needs for support related to employment for people with ASD were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