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서울지역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Job Stress Factors of Disabled Person Activity Assistant in Seoul Area)
- 개인저자
- 정석환
- 수록페이지
- 57-82 p.
- 발행일자
- 2017.02.28
- 출판사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서울지역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우선 현장 장애인활동보조인 11명을 눈덩이 표집방식으로 모집하였으며 그들에 대한 심층면접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3가지(우호적 관계, 역할혼란, 경제적 안정성)로 도출하였다. 또한, 3가지 요인의 통계적 인과관계 분석을 위하여 2016년 10월 4일부터 10월 7일까지 서울지역 장애인 활동보조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111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기술통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활동보조인들의 직무스트레스정도는 2.65점으로 보통3.0(5점 만점)보다는 조금 낮은 결과가 나왔고, 우호적 관계, 직무역할 혼란이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장애인활동보조인과 대상자의 우호적 관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부당한 요구에 대해 서비스 제공기관이 중재자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개선이 필요하고, 활동보조인의 직무역할 혼란을 낮추기 위해서는 현장중심의 업무내용을 반영한 교육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among personal assistan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orking in the service providing agency for the disabled people in Seoul by considering factors such as service users. Method: 11 personal assistants were recruited by snowball sampling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rive three factors of job stress (friendly relationship, role confusion, economic security). In order to analyze the statisti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factors, from October 4 to October 7, 2016,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ersonal assistants in Seoul and a total of 11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sults: The level of job stress was 2.65,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3.0 (out of 5),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favorable relationship and job role confusion on job stress of the disabled assistant.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assistant and the targe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upport system for the assistants so that the service provider can perform the role of the agent in the unfair demand of the target person. In order to lower the role conflic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the contents of the work centered on the activity assistant field and to provide systematic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