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과 고용유지의 관계연구(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Retention for the Worker with Disabil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개인저자
최칠성
수록페이지
231-253 p.
발행일자
2017.02.28
출판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고용유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차별경험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이 수집한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자료 가운데 8차년도 자료에서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근로 장애인 870명을 대상으로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탐색적요인분석, 확인적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델, Boostrapping, 모델비교를 통한 다중집단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직무만족이 고용유지에 직접적인 관계가 없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직무만족과 고용유지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차별경험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결과, 직무만족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자아존중감과 고용유지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근로 장애인들의 장애로 인한 차별적 요소와 자아존중감 상실로 인해 고용유지가 어려운 집단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함으로 고용안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disabled work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retention. Method: For the study, we selected the 870 people who continued working from the 8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in 2015. With this data,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oostrapping, Multi group analysis, Moderating effect analysis through model comparison by using the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atisfactions and job retention of the worker with disabili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mediates job satisfaction and job retention.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shows a significant resul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job retention show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Conclusion: The outcome of the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the employment policy by providing implications for policy of the worker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in maintaining employment due to loss of self-esteem and discrimination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