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아버지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mediating roles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s)

개인저자
김진경
수록페이지
65-89 p.
발행일자
2018.02.28
출판사
한국아동권리학회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버지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과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만 4, 5세 유아 239명과 그들의 아버지 239명, 그리고 담임교사 38명이며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아버지의 배경변인인 연령, 학력, 직업, 경제수준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아버지의 원부모에 대한 애착표상, 아버지 양육행동,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의 원부에 대한 애착표상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영향을 미칠 때 아버지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독립성지향 양육행동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원모에 대한 애착표상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영향을 미칠 때 아버지의 애정적 양육행동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고, 독립성지향 양육행동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결론: 아버지의 원부모 애착표상이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통해 자녀의 자기조절력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받을 수 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verify whether parenting behaviors of fathers worked as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nd th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Methods: Our research targets were 239 children’ aged 4 and 5 and their fathers and teachers. Results: Th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showed significant dependence on the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occupation, and economic level of the fathers. Significance was also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the parenting behaviors of fathers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When the fathers’ father of origin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ffected th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ffective parenting behaviors of the fathers and independent parenting behaviors played the role of full mediation. When the fathers’ mother of origin representation attachment affected th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ffective parenting behaviors of the fathers played the role of partial mediation. Independent parenting behaviors also played the role of full mediatio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fathers’ family of origin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ffects the self-regulation of children through the parenting behaviors of fa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