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성감과 돌봄 경험 만족도(Fathers’ generativity and care work satisfaction: The mediating role of child care responsibility)
- 개인저자
- 조윤주
- 수록페이지
- 91-111 p.
- 발행일자
- 2018.02.28
- 출판사
- 한국아동권리학회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에 대한 학문적, 시대적인 관심을 반영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 경험에 관한 과정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연구 대상은 만 3세에서 5세 사이의 자녀를 두었으며 사무직에 종사하는 아버지 119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와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Bootstrapping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첫째, 주요 변수인 생성감의 평균 점수는 29.1점(점수 범위=10∼40점)이었으며, 양육 책임감은 평균 12.2점(점수 범위=6∼18점), 돌봄 경험 만족도는 16.4점(점수 범위=5∼20점)이었다. 둘째, 주요 변수간 상관관계로 아버지의 생성감과 양육 책임감은 정적 상관관계였다. 또한 아버지의 생성감과 돌봄 경험 만족도 역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아버지의 돌봄 경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설명력이 가장 크면서 유의한 변수는 생성감, 양육 책임감의 순이었다. 그리고 생성감은 양육 책임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돌봄 경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성감에 초점을 둔 양육 참여 활성화 방안 등의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general tendencies of the major study variables and to analyze the variables that have an effects on father’s care work satisfaction.
Methods: The sample included 119 male office workers with young children in dual-earner famil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Results: First, the mean of father’s generativity and care work satisfaction were 29.1 pts (range = 10∼40 pts), and 12.2 pts (range = 6∼18 pts) respectively. The mean of care work satisfaction was 16.4 pts (range = 5∼20 pt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generativity and child care responsibility, and generativity and care work satisfaction were positive. Third, the variables which explained care work satisfaction of the father were generativity and child care responsibility. The fath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generativity and child care responsibility, when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care giving of the child. Fourth,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father’s care work satisfaction was child care responsibility.
Conclusions: Activating interventions using generativity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