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보육교직원의 아동학대 인식과 아동학대 방지노력에 관한 연구(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child abuse prevention efforts)

개인저자
한유미
수록페이지
145-162 p.
발행일자
2018.05.28
출판사
한국아동권리학회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하여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및 아동학대 방지노력의 일반적 현황을 살펴보고, 아동권리인식을 높이고 아동학대를 방지 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경기도내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원장과 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위해 일원변량분석, 인식도와 실행도를 동시에 분석하기 위해 IPA분석기법, 그리고 아동학대 인식이 아동학대 방지노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아동학대 인식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11개 변인 중 4개 변인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 방지노력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교직원연령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실행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IPA분석을 한 결과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아동학대 방지노력도 잘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학대 인식이 높을수록 아동학대 방지노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첫째, 초임교직원이나 예비교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아동학대 교육이 요구되며 둘째, 보육교직원의 적정한 근로시간을 정부차원에서 보장해 줌으로써 과도한 근무시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아동학대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셋째, 최소한의 특별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아동과 긴밀한 상호작용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넷째, 인식과 실행이 모두 낮은 장기개선영역의 언어적 학대의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인지하고 언어적 학대의 명확한 기준을 만들어 아동학대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status of child abuse awareness and child abuse prevention efforts of child care teachers in order to prevent child abuse at childcare centers. The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raise the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to prevent child abus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50 preschool teachers and nursery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The data analysis included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techniques to analyz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buse awareness on child abuse prevention efforts.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of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 abuse awareness was significant among 4 of the 11 variables. Second, the differences i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 abuse prevention efforts were significant only in the ages of the school staff. Third, IPA analysis showed that they had high level of child abuse perception and child abuse prevention effort. Fourth,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the higher the efforts to prevent child abuse. Conclusions: First, there is a need for child abuse education for first-time staff and prospective school staff. Second, by ensuring the appropriate working hours of child care staff members at the government level, they should be able to prevent child abuse that may occur due to excessive working hours. Third, it is necessary to run a minimal program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o enhance close interaction with the child. Fourth,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erious adverse effects of verbal abuse in the long-term improvement areas where both recognition and execution are low, and to raise awareness of child abuse by establishing clear criteria for verbal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