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국회의원의 투표 불참을 통한 의사표현(On Ideology-related Bills, Can `Absence’ be an Expression of Opinion in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in Korea?)

개인저자
박상원
수록페이지
27-44 p.
발행일자
2016.02.28
출판사
한국재정학회
초록
본 소고는, 국회의원의 본회의 투표에 있어 ‘상정된 법안 내용이 개인이념과 크게 상치될수록 반대/기권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기존 이해와 더불어 ‘불참 또한 이념에 따른선택이 된다’는 가설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통계적 분석은 원내교섭단체에 의해 통과시키기로 합의된 시장 관련 법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반시장 법안의 경우 보수적 의원일수록 찬성에 비해 투표자체에 불참할 가능성이 높았다. 친시장 법안의 경우 불참은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반면, 반대나 기권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결과는, 보수적 의원들은 불참을 통해 간접적으로 의사표현을 한 반면, 진보적 의원들은 직접적으로 반대나 기권을 선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우리나라 현재 정당에 대한 일반적 이해-진보 정당의경우 개인이념을 중시하는 반면 보수 정당에서는 당론 준수를 강조한다는 것-와 일치한다. This paper empirically tests the hypothesis that not only “favor/opposition/ abstention” but also “absence” can be an expression of individual opinion in the Plenary Session of the Korea National Assembly. From July 2012 to April 2014, 129 major bills all of which have an important implication on market and firm have pa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in Korea. Those bills were classified into “anti-market” and “pro-market.” It is revealed that in case of anti-market bills, more conservative legislators had a higher probability of taking absence than voting in favor. On the contrary, in case of pro-market bills, more progressive legislators chose opposition or abstention in stead of absence to express their opinion.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 on Korean legislature that the legislators’ relative weight on partisanship and individual conviction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id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