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출생신고자료를 활용한 출생방정식 도출 연구 -모총출생아수와 다태아여부 중심으로-

개인저자
오진호
수록페이지
67-91 p.
발행일자
2014.06.15
출판사
한국연금학회
초록
본 연구는 인구동태통계(vital statistics)의 하나인 출생신고자료를 바탕으로 출생에 관련된 주요항목들(부o모연령, 임신주수, 다태아출산순위, 모총출생아수(birth order), 동거기간(실제 결혼생활 기간), 출생장소, 다태아여부(단태아, 쌍태아, 삼태아이상), 부o모교육정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며, 이런 관계규명을 위해 출생방정식을 정의한다. 특히, 모총출생아수와 다태아여부는 변수형태가 연속형, 범주형이므로 일반선형모형(Generalized Linear Model),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다항로지스틱(Multinominal Logistic)의 통계적 방법을 활용해 관계식을 규명한다. 출생방정식의 최적모형은 자료완결성을 위한 주요항목별 무응답대체(imputation)를 실시한 후, 다중공선성 문제와 모형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활용하고 일반선형모형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도출한다. 모총출생아수에 대한 출생방정식은 각 연도별(2007~2012년) 주요 영향변수 순위와 표준화 회귀계수가 유사하게 도출되었다. 동거기간, 다태아출산순위가 가장 높은 영향력 변수로 검출되고, 부교육정도보다는 모교육정도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연령과 임신주수가 증가할수록 모총출생아수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임신주수, 다태아여부(쌍태아)는 음의영향을 그 외 변수들은 양의 영향력으로 도출되었다. 다태아여부에 대한 출생방정식은 단태아가 기준변수인 경우 다태아출산순위, 동거기간, 부모연령이 순서적으로 높은 확률값을 나타내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출생방정식은 6개년의 출생패턴을 살펴볼 수 있으며, 각 연도별 주요항목의 영향요인 파악과 추이를 살펴볼 수 있다. 기존 출생통계는 단순한 수치 및 평균만 제시되어 특정 집단별 결과만 파악 가능한 반면 출생방정식은 개인별 주요항목들의 다양한 관심값 반영이 유용하고 이에 따른 예측값이 도출되어 다양한 개인별 시나리오 분석이 가능하다.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clarify major items(age group of father and mother, period of pregnancy, birth order multiple births, birth order of mother, duration of cohabitation, birth place, multiple birth status, educational attainment of father and mother) related to live births based on birth certificate data(BCD) of the vital statistics. Especially, birth order and multiple birth status on variable type of ordinal data, categorical data, are investigated a linear relationship utilizing Generalized Linear Model(GL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The best model of birth equation derived by comparing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solved multicollinearity with the GLM after analyzing major item imputation for the integrity of the BCD. The birth equation on birth order of for six years were derived similarly significant variable rank and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Duration of cohabitation, birth order mutiple births are the most influence variables and educational attainment of mother than father is influential relatively high. In particular period of pregnancy and multiple birth status(twin births)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birth order of mother. The birth equation(first birth) on multiple birth status is that birth order multiple births, duration of cohabitation and age group of father and mother are sequentially higher probability value. And birth equation is the birth of six years to look at the pattern and can be identified trend and influencing factors of main variable each year. This approach is useful in that they can be reflect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ing predicted values are derived and it is possible to analyze a variety of scenario differently demographics which is to provide simple figures and ave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