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롤모델(Role Model) 영향 분석(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 with an Emphasis on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Teenager’s Mothers -)
- 개인저자
- 이상돈
- 수록페이지
- 107-125 p.
- 발행일자
- 2015.08.30
- 출판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록
많은 사람들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해 “성장기의 여성이나 젊은 여성은 어머니의 노동선택에 영향을 받는다”라는 직관적인 생각을 한다. 본 연구는 심리학적측면의 성정체성 요인을 도입하여 여성의 경제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청소년기 어머니의 노동시장 참여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지 여부를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어머니와 딸의 노동공급 사이에 양(+)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시절 어머니가 노동시장에 참여할 때, 성인이 된 여성의 근로시간이 약 1.795시간(3.96%) 길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어머니 근로시간의 대리변수를 적용한 분석에서도 어머니의 노동공급은 여성의 노동공급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비해 남성의 근로시간과 어머니의 노동공급은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아 어머니가 청소년기 자녀의 준거집단이 되어 자녀의 노동공급 선택에 영향을 주는 것은 여성 자녀에게만 국한되는 효과임을 보여, 본 연구가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의 타당성을 뒷받침한다.
Focusing on gender identity, this study explores factors affecting women’s decision on supplying their labor. In particular, we examine empirical studies to determine whether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relationship on their mothers’ work choices when they were teenagers. From an analysis on KEEP data of KRIVET, we fi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abor supply of mothers and daughters. If mother had a job, she increases her working week by 1.795 hours(3.96%). In empirical results with two proxies for mothers’ hours worked, we find that mothers’ working hour has a positive effect on daughters’ labor supply. Meanwhile, male labor supply is independent on their mothers’ labor suppl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Role model effect’ is restricted to daughters and supports the hypothesis this paper focuses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