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대입시기 대학 및 전공에 대한 선택이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Selection of College and Major on Entry into the Labor Market)
- 개인저자
- 이왕원
- 수록페이지
- 57-94 p.
- 발행일자
- 2017.04.01
- 출판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록
본 연구는 대입시기 개인들의 대학 및 전공 선택이 이후 그들의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대학 및 전공 지향 선택은 다음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 학력주의에 기초한 대학 지향 선택, 둘째, 노동시장이 선호하는 학과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취업유리-전공지향 선택, 셋째, 자신의 관심과 흥미에 기초한 취업불리-전공지향 선택, 넷째, 대학과 전공의 특성을 동시한 고려한 선택이다. 한국사회의 학벌주의와 학과 선호의 편향성을 반영하는 이 네 가지 유형은 노동시장 진입에서의 유리한 위치를 점유함으로써 구조적 효용을 최대화하고자 하는 개인과 가구의 복합적인 전략들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대학-전공에 대한 선택의 배경적 특성과 그것이 현 한국사회의 대학교육 구조 내에서 어떠한 위치를 점유하는지를 확인한다. 그 후 이러한 선택유형들이 대졸자들의 노동시장진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한국교육고용패널 1~11차 자료를 활용하여, 첫 취업 유형별로 경쟁위험분석(competing ris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의 노동시장과 대학구조가 개인들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과 그 효과를 확인해봄으로써 학력주의의 양상을 되짚어보고 이것의 함의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individuals’ selection of college and major on their entries into the labor market afterwards. The college/major-oriented selection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including the college-oriented selection based on credentialism, the major-oriented selection preferentially choosing departments advantageous for getting jobs, the major-oriented selection based on individual interests despite low job prospects, and the sele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college and major.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such selection types on college graduates’ entries into the labor market. Using the data of 1st to 11th Korean Education qqqamp; Employment Panel (KEEP), we analyzed the competing risk model by type of intial employment. By examining the influence and effects of the labor market and college structure of Korean society on individuals’ selection,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aspect of credentialism and also to discuss its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