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을 이용한 기업문화와기업교육성과의 관계구조(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Culture and Corporate Education Performance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ith a Focus on Innovation Culture)
- 개인저자
- 이호진
- 수록페이지
- 119-142 p.
- 발행일자
- 2017.04.01
- 출판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록
본 연구는 오차회귀 지연모형을 통하여 혁신문화와 기업교육성과간의 상호교차 지연효과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이하 HCCP) 3,4,5차년도 자료(본사용, 근로자용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8개 경쟁모델 비교를 통해 최종모델을 선정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통해 혁신문화는 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과거 혁신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간에 지연되어 기업교육성과에도 영향을 주었다. 둘째로, 기업교육성과는 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과거 기업교육성과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시간에 지연되어 혁신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로, 본 연구를 통해 혁신문화와 기업교육성과와의 관계구조를 검증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기업문화와 기업교육성과간의 시간에 걸친 상호 교차 지연효과는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자로 하여금 기업문화 변화와 성과 간에 예측 및 관리 가능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longitudinally explore the cross-lagged effect between innovation culture and corporate education performance by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For this purpose, the 3rd, 4th, and 5th waves of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selectively targeting headquarters and their employe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structural equations enabled us to fit the final model through competitive model comparis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urrent corporate innovation culture had interacted with its previous innovation culture on a regular basis and that it had also influenced corporate education performance by time-lagged period. Moreover, corporate education performance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its pervious performance, thus having a time-lagged effect on innovation culture. Consequently, this study contributed to confirm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ulture and corporate education performance. In this manner, the cross-lagged effect between innovation culture and corporate education performance provid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concerning the prediction and management of corporate culture and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