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대학생의 취업선호도 유형 분류 및 개인 변인의 영향력 분석(Classification of College Students` Job Preference Types and Influence Analysis of Individual Variables)

개인저자
박연복
수록페이지
1-27 p.
발행일자
2017.12.01
출판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직업선호도에 따른 유형을 파악하고 개인 특성 및 배경 변인이 취업선호도 유형에 주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집하고 있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9차년도(2012년) 데이터 중 1,760명의 대학생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취업선호도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분산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취업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개인 변인을 탐색하였다. 잠재집단분석 결과, 근무환경 중시형, 사회적 인정 선호형, 직업선호 탐색형의 3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영향 요인을 검증한 결과, 개인 특성 변인에서는 성격의 BIG 5요인 중 성실성과 개방성이 취업선호도 유형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개인 배경 변인에서는 성별, 수능 등급 평균, 전공 계열, 부모의 소득이 취업선호 유형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개인의 성격 등과 같은 개인 특성 변인이 취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대학생의 진로상담이나 진로교육 및 프로그램 등을 구성할 때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college students` job preferences and to verify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variables on the types of job preferences. For this purpose, 1,760 college students from the 9th year (2012)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latent class analysis, three potential groups were derived and among the Big-5 personality factors, both sincerity and openness hav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type of job preferences. Also, in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gender, SAT scores, majors and parents' inco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job preference type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en constructing career counseling or career education programs of college students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individual personality on job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