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이 청년층의 희망임금과 실제임금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SAT Grades on Youth Reservation Wage and Real Wage)
- 개인저자
- 박천수
- 수록페이지
- 127-152 p.
- 발행일자
- 2015.08.30
- 출판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2012) 결과를 활용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성적이 청년층의 희망임금과 실제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청년층의 희망임금은 대학수능 성적과 특정 기업만 취업하겠다는 등의취업선호가 구직이나 취업활동과 같은 노동시장 경험보다 더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수능 평균 등급이라는 단일 변수가 복합적인 교육경력보다 희망임금 형성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비재학 청년층의 경우에 수능 평균이 1등급 좋아질 때마다 희망임금이 평균 3.9% 상승하고 있다. 실제임금에 대한 추정 결과를 보면 청년 초기 노동시장에서 성별 임금 격차가 체계적으로 발견되지 않는 반면에, 기업규모, 정규직 여부, 시간제 근로, 종사 직업이 주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수준별 임금격차가 사라진 대신 수능등급에 따른 임금차이가 뚜렷하게 확인되어, 비재학 청년층의 경우에 수능 평균이 1등급 좋아질수록 임금도 2.7% 높아지고 있다. 이는 청년층이 장기간에 걸쳐 준비한 수능 성적이 심리적인 중요성(희망임금)은물론 실제 직무역량(실제임금)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influence factors of youth reservation wage(hope salary) and real wage by using 2012 KEEP Data. Empirical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Korean SAT grades and job prefer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youth reservation wage. But labor market condition, such as job seeking experience, had little effect. Also, youth reservation wage was mo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dividual average SAT grade than by the education level. The wage gap by gender was not found systematically, but firm size, whether temporary or a full time job, and occupation type provided some wage premium in real wage. The wage gap between education levels disappeared, but the individual average SAT grade systematically influenced real wages of youth work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SAT grades reflect not only psychological importance of youth but also their actual job compet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