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정부 간 관계(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 in Japan: Focusing on Social Security) | 국중호 | 5-16 | 2018.09.30 | - | |
영국의 정부 간 복지 재정 분담 및 행정 체계(Finance and Administrative System for Central-Local Government Reponsibility Shares on Social Services in England) | 김보영 | 17-28 | 2018.09.30 | - | |
미국의 정부 간 복지 재정 분담과 보조금 제도(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hip in the U.S.: Focusing on Social Welfare Finance) | 윤태섭 | 29-39 | 2018.09.30 | - | |
폴란드의 보편적 아동수당제도 'Family 500+' 시행 3년, 사회경제적 성과와 변화(Family 500+ in Poland: Its Socioeconomic Impacts and Policy Implications) | 고제이 | 43-56 | 2018.09.30 | - | |
프랑스 복지국가의 개편 노력과 일반사회보장기여금(France's Welfare State Reform Eff) | 최영준 | 57-65 | 2018.09.30 | - | |
네덜란드의 장기요양 개혁(Long-term Care Reform in the Netherland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 이윤경 | 66-75 | 2018.09.30 | - | |
스웨덴 장애인 돌봄 정책: 장애인활동지원제도를 중심으로(The Care of Disabled People in Sweden: the Case of Personal Assistance) | 요한나 구스타프손 | 76-85 | 2018.09.30 | - | |
난민이 해외 수용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The Impact of Refugee Inflows on the Economy of Host Countries) | 박복영 | 86-94 | 2018.09.30 | - | |
중국의 주요 주거보장정책 및 향후 과제(Housing Security in China and Challenges Ahead) | 유멍 | 97-104 | 2018.09.30 | - | |
스웨덴 노인주거복지서비스 현황과 정책 대응(Recent Challenges and the Government Strategies for Senior Housing Services in Sweden) | 김연진 | 105-112 | 2018.09.3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