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3판에서는 최근 한국 사회복지실천현장 내 실천대상자들의 다양해진 욕구에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는 탄력적인 관점(강점관점, 다문화관점, 성인지관점 등)을 제시하기 위해 ‘사회복지의 새로운 관점’을 추가하였다. 이로써 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요구하는 교과목 지침에 충실하면서도 변화하는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먼저 대응하고자 하였다.
목차
3판 서문
서문
제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관
1.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실천
2. 사회복지.천의 대상
3.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4.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목표
제2장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1.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2.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3. 한국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과제 및 방향
제3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1. 지식, 가치, 윤리의 관계
2.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적 딜레마
3.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기준
4.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갈등과 윤리적 딜레마의 해결책
5. 가치관에 대한 자기 인식
6. 사회복지실천과 한국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제4장 사회복지?천현장과 사회복지사의 활동
1. 지역사회복지
2. 아동복지
3. 학교사회복지
4. 노인복지
5. 의료사회복지사업
6. 정신보건사회복지사업
7. 장애인복지
8. 여성복지
9. 가족복지
10. 사회복지시설
제5장 사회복지실천의 기본틀
1. 실천의 초점: 환경 속의 인간
2.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틀
3. 실천의 주요 관점
제6장 사회복지실천의 새로운 관점
1. 강점관점
2. 다문화관점
3. 성인지관점
제7장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1. 관계의 개념
2. 전문적인 관계의 기본 요소
3. 기타 사회복지사의 자질
4. 사회복지실천 관계의 원칙
제8장 면접과 의사소통
1. 면접의 이해
2. 의사소통
3. 면접의 방법
4. 면접의 기록
제9장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1. 접수화 관계형성
2. 자료수집
3. 사정과 계획
4. 개입
5. 평가와 종결
제10장 사례관리
1. 사회복지실천으로서의 사례관리
2. 사례관리의 도입 배경 및 실천 분야
3. 사례관리의 개념
4. 사례관리의 목적
5. 사례관리의 기능
6. 사례관리자의 역할
7. 사례관리의 단계별 기능
제11장 개인중심 모델
1. 클라이언트중심 모델
2. 인지ㆍ행동 모델
3. 심리ㆍ사회 모델
제12장 개인ㆍ환경 모델
1. 과제중심 모델
2. 행동수정 모델
제13장 환경중심 모델
1. 급진사회복지실천의 모델
2. 페미니스트 사회복지실천 모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