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과부담의료비 지출 경험이 경제적 이유에 의한 미충족의료 발생에 미치는 영향(Effect of experien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Unmet medical need caused by economic reason)
- 개인저자
- 정현우
- 수록페이지
- 27-51 p.
- 발행일자
- 2017.03.30
- 출판사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료패널 6차, 7차 자료를 이용하여 전년도(2011년) 과부담의료비 지출 경험이 다음해(2012년)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의료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또한 과부담의료비 지속 발생 유형이 미충족의료(경제적 이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전년도에 과부담의료비가 발생할 경우 다음해 미충족의료(경제적 이유) 발생 가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과부담의료비 지속 발생유형에 따른 미충족의료 발생 분석에서는, 과부담의료비 탈출자와 재발생자에서 미충족의료(경제적 이유) 발생 가능성이 높았으며, 신규발생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것은 전년도의 과부담의료비 발생이 의료비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을 주어 다음해 미충족의료가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어려웠던 과부담의료비와 미충족의료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Unmet medical ne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6th and 7th data of Korea health Panel to find out whether the previous year's experien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effects on the next year's unmet health care need due to economic reasons. In addition, we examined how the experien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ffects to unmet need for medical car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eriod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ousehold members who experience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for overtime in 201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probability of experiencing unmet medical need. In second analysis, 'Escape' and 'Recur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han 'Never occured'.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newly incurred in 2012. This suggests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affects to dependent variable through time differe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hich were not easy to be ident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