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서울연 2022-PR-02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개선방향
Policy Study on Supporting North Korean Refugees in Seoul
- 서명/저자사항
-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개선방향 / 문인철 , 송미경
- 대등서명
- Policy Study on Supporting North Korean Refugees in Seoul
- 발행사항
- 서울 : 서울연구원 , 2022
- 형태사항
- viii, 130p. : 삽화, 도표 ; 26cm
- 총서사항
- 서울연 2022-PR-02
- ISBN
- 9791157006823
- 주기사항
-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5283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5283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북한이탈주민 다문화 난민적 특성의 한국 국민 , · … 세심한 관심 지원 중요 ·
북한이탈주민은 법적으로도 정치 사회적으로도 또 남북관계적으로도 복합적인 의미 , · ,
를 지니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은 남과 북이 하나의 민족이라는 것과 분단의 아픔 통 . ,
일의 필요성 북한 체제의 심각한 현실 등을 보여준다 그리고 민족적 관계이자 국가 , .
관계인 남북관계의 특수성 문제를 국민 개인의 단위에서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북한.
이탈주민은 법적으로 대한민국 국민이지만 다문화적 난민적 특성을 보이며 사회적 , · ,
약자이기도 하다.
북한이탈주민은 난민 다문화 가정과 마찬가지로 남북한의 체제 및 사회 경제 문화적 , · ·
차이로 인해 한국 사회 정착 및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사회적 약자이자
소수집단이라는 점에서 정착 초기에 다른 집단보다 더 취약성이 존재한다 이와 더불 .
어 탈북 및 입국 이주 과정에서 겪은 트라우마와 북한이나 중국 등 제 국에 남겨둔 ( ) 3
가족에 대한 걱정 북한식 표현과 말씨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차별 무시 등 , ·
정서적 심리적 고통이 존재한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 정착과 자립 자활 · . · ,
나아가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좀 더 세심한 관심과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목차
01 서론 2
1_연구배경 및 목적 2
2_연구내용 및 방법 6
02 서울시 북한이탈주민의 의미와 지원정책 필요성 10
1_북한이탈주민의 의미와 용어 변화 10
2_서울시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책 필요성과 기대효과 14
0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정착 및 지원 현황 18
1_서울시 북한이탈주민 정착 현황 18
2_서울시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 및 정책 37
04 국내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책 사례 분석 50
1_정부의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책 50
2_타지자체의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책 74
05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책 개선방안 84
1_서울시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책임과 역할 84
2_서울시 북한이탈주민 지원계획 개선 방향 및 추가사업 제안 91
3_서울시 북한이탈주민 취약 위기가구 정보 체크리스트 제안 · 103
참고문헌 123
Abstract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