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IHASA 발간물연구보고서 2022-42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 45~64세 집단의 사회적 불안

The Social Insecurity Percept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ies

서명/저자사항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 45~64세 집단의 사회적 불안/ 이현주 , 곽윤경 , 이아영 , 변금선 , 전지현
대등서명
The Social Insecurity Percept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ies
발행사항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22
형태사항
261p. : 삽화, 도표 ; 24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22-42
ISBN
9788968279065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URL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EM053147대출가능-
자료실EM05314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EM05314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EM05314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9 제2절 연구의 구성과 주요 내용 12 제3절 연구의 방법과 기대효과 15 제2장 선행연구의 검토와 조사의 설계 19 제1절 선행연구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21 제2절 조사표의 개발과 조사의 개요 43 제3장 사회적 불안에 대한 기초분석 59 제1절 응답자의 특성 61 제2절 사회적 불안 인식 측정의 신뢰도와 영역 구분 63 제3절 사회경제적 특성과 사회적 불안의 수준 67 제4절 사회적 불안과 사회적 영향 인식 77 제4장 개인 심리·불안과 사회적 불안 85 제1절 분석 목적과 방법 87 제2절 개인 심리·불안과 사회적 불안 분석 결과 101 제3절 소결 121 제5장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사회적 불안 격차 125 제1절 세대 특성과 사회적 불안 127 제2절 분석방법 132 제3절 사회적 불안의 격차 134 제4절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애 경험의 누적 효과 155 제5절 소결 167 제6장 사회적 불안과 대처기제 169 제1절 분석의 목적과 방법 171 제2절 대처방식별 불안 비교 176 제3절 사회참여 및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불안 181 제4절 사회적 불안에 대한 사회관계의 영향 분석 188 제5절 소결 207 제7장 결론 211 제1절 주요 결과와 시사점 213 제2절 정책 과제 220 참고문헌 233 부록 243 [부록 1] 면담 가이드 243 [부록 2] 「한국인의 사회적 문제 경험과 인식 조사」 설문지 247 [부록 3] 문항 16번, 24번 제거 시 신뢰도 분석 결과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