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소방공무원·경찰·군인 및 일반 외상피해자를 위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심리치료: PTSD의 원인·증상·진단·예방과 PTG 전략

서명/저자사항
(소방공무원·경찰·군인 및 일반 외상피해자를 위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심리치료 : PTSD의 원인·증상·진단·예방과 PTG 전략 / 심윤기 지음
개인저자
심윤기
발행사항
서울 : 창지사, 2018
형태사항
470 p. : 삽화 ; 24 cm
ISBN
9788942611249
주기사항
PTSD는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G는 "Post Traumatic Growth"의 약어임 참고문헌(p. 464-470)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5391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5391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머리말

-오늘날 지구촌 곳곳에는 지진을 포함한 크고 작은 재난들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만큼 빠른 성장과 발전을 이룬 우리나라도 재난 발생에있어서는 예외가 되지 않아 세월호 침몰사고, 천안함 폭침사고, 제천 화재참사, 경주·포항 지진 등 자연 및 인적 재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그 결과 심각한 물질적 피해와 함께 심리적 고통 속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많이 보게 된다.
다행한 것은 이러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비롯한 트라우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트라우마에 대한 실제 대응과 치료적 접근에서는 아직도 국민적 기대 수준에 못 미치고 있다. 트라우마와 관련한 국가 정책들이 입안되지 못하고 있고, 각종 트라우마와 관련한 연구도 부족하게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 또한 부재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특히, 소방공무원·경찰·군인의 위험성 직무로 인해 발생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자료가 부족하여 각종 트라우마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 제공과 교육훈련이 제한되고 있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본서는 트라우마 분야의 종합적인 개론서를 찾는 교육자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관련 상담학과에서 공부하고 있는 대학원생, 소방학과·경찰학과·군사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사관학교 사관생도, 트라우마에 취약한 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 그리고 일반 외상피해자들에게 작은 도움이나마 되고자 하는 마음에서 집필하게 되었다. 여러모로 본서가 독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본서는 총 5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PTSD란 무엇인가에 초점을 두고 주요 개념과 유형별 진단, 증상과 사례, 발병 원인 등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제2부는 소방공무원과 경찰, 군인의 트라우마는 왜 생기는가에 초점을 두고 그들의 직무 특성과 심리적 외상의 취약성 및 역학조사 결과를 알아보고, 각 기관의 정신건강관리제도를 살펴본다.
제3부는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예방 및 교육과 치료방법론을 탐색한다. 인지행동치료와 지속노출치료, 안구운동 둔감화 재처리 등의 여러 치료방법론에 대한 세부프로그램을 자세히 다룬다.
제4부는 재난에 대한 심리응급지원방법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재난 트라우마에 영향을 주는 여러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살펴본 후, 유형별·대상별·단계별 재난 심리응급지원 방법을 소개한다.
제5부는 외상 후 성장 상담전략(PTG)을 다루고 있다. 외상사건의 경험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를 성장으로 이어지게 하는 전략을 알아보며, 외상사건 경험 이전보다더욱 성숙한 사람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상담 과정과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목차

머리말 2

PART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란 무엇인가?

CHAPTER 01 주요 개념 11
1. 이론적 배경 12
2. 역사적 변천 24
3. 역학과 영향 30

CHAPTER 02 유형별 진단 39
1. 진단체계 40
2.『 DSM』 반영 44
3. 진단기준 47

CHAPTER 03 증상과 사례 57
1. 침투 증상 58
2. 자극 회피 64
3. 인지와 감정의 부정적 변화 66
4. 각성과 반응성의 변화 72

CHAPTER 04 발병 원인 79
1. 개인적 관점 80
2. 이론적 관점 84
3. 생물학적 관점 96
4. 통합적 관점 99

PART 2. 소방공무원·경찰·군인의 트라우마는 왜 생기는가?

CHAPTER 05 소방의 직무 특성과 트라우마 109
1. 소방 조직과 직무 특성 110
2. 소방관의 외상 스트레스 121
3. 정신건강관리 체계 127

CHAPTER 06 경찰의 직무 특성과 트라우마 135
1. 경찰 조직과 직무 특성 136
2. 경찰관의 외상 스트레스 143
3. 정신건강관리 체계 147

CHAPTER 07 군(軍)의 직무 특성과 트라우마 155
1. 군 조직과 직무 특성 156
2. 파병 군인의 전장 스트레스 162
3. 정신건강관리 체계 172

PART 3. 트라우마 심리치료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CHAPTER 08 치료의 개념 189
1. 일반 지침 190
2. 치료방법 195
3. 치료기관 211

CHAPTER 09 치료 프로그램 221
1. 인지행동치료 222
2. 지속노출치료 232
3. EMDR 치료 279

CHAPTER 10 예방과 교육 291
1. 교육목표와 방향 292
2. 유형별 교육 프로그램 295
3. 예방적 관리 303

PART 4. 재난 심리응급지원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CHAPTER 11 재난 트라우마의 특징 309
1. 재난의 유형 310
2. 재난 트라우마의 증상 317
3. 재난 심리응급지원 체계 324

CHAPTER 12 재난 트라우마에 영향을 주는 요인 337
1. 인구학적 요인 338
2. 개인특성 요인 341
3. 환경특성 요인 343

CHAPTER 13 재난 심리응급지원 방법 347
1. 재난 심리응급지원 개념 348
2. 재난 심리응급지원 방법 359
3. 재난 심리응급지원 프로그램 378

PART 5. 외상 후 성장전략이란 무엇인가?

CHAPTER 14 외상 후 성장의 개념 389
1. 외상 후 성장의 특징 390
2. 외상 후 성장의 요인 393
3. 외상 후 성장의 단계 400

CHAPTER 15 외상 후 성장 이론 409
1. 개인성장이론 410
2. 인지적응이론 414
3. 절충·통합이론 417

CHAPTER 16 외상 후 성장 프로그램 421
1. 프로그램의 모형 422
2. 프로그램 워크북 434

찾아보기 457

참고문헌 463

저자소개 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