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IHASA 발간물용역보고서 2023-92
식품용기 재활용을 위한 안전성 평가 체계 운영
Operation of Safety Assessment System for Recycling Food Containers and Packages
- 서명/저자사항
- 식품용기 재활용을 위한 안전성 평가 체계 운영 / 김정선 , 김현숙 , 정진욱 , 이나경
- 대등서명
- Operation of Safety Assessment System for Recycling Food Containers and Packages
- 발행사항
- 오송 : 식품의약품안전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23
- 형태사항
- 376p. : 삽화, 도표 ; 30cm
- 총서사항
- 용역보고서 2023-92
- 주기사항
- 참고문헌 수록
- URL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EM05428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EM05428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EM05428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EM05428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제2장 범위 및 방법 3
1. 연구 범위 3
2. 연구 방법 4
제3장 연구내용 8
1. 국내·외 식품용기 재활용 관리제도 및 안전성 평가체계 8
가. 국내 현황 8
나. 국외 현황 13
2. 일반 및 재활용 합성수지제의 재질별 특징 및 제조 공정 28
가. 합성수지 재질별 특징 28
나. 합성수지 재질별 첨가제 및 제조 공정 37
3. 재활용 관리제도 및 안전성 평가방법 고찰 42
가. 국가별 식품용기 물리적 재활용 관리제도의 특징 비교 42
나. 유럽연합의 신 규정, Regulation(EC) No. 2022/1616에 따른 변화 44
4. PET외의 합성수지 재질(PP, PE)의 재생원료 안전성 평가방법 고찰 51
가. 국외 PP, PE의 재생공정 안전성 평가의 특징 비교 51
나. 국내 PP, PE 재활용 관련 산업체 현황 분석 65
5. 재활용 관리제도 및 안전성 평가방법 개정(안) 마련 69
가. 재활용 기준·규격 개정사항을 반영한 가이드 제안 69
나. PP 재생원료 인정제도 운영방안 제안 77
참고문헌 86
첨 부 87
첨부 A. 미국 및 유럽연합의 재생공정 인정 현황 87
첨부 B. EFSA의 재생공정 안전성 평가서 번역본 258
첨부 C. 유럽연합 Commission Regulation (EC) No 2022/1616 원본 및 번역본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