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추천자료

추천자료

단행본사회복지학 총서 103

제도적 문화기술지: 사람을 위한 사회학

서명/저자사항
제도적 문화기술지: 사람을 위한 사회학/ 도로시 스미스 지음 ; 김인숙 [외] 옮김
개인저자
Smith, Dorothy E. 1926- | 강지나 역 | 김인숙 역 | 우아영 역 | 조혜련 역 | 하지선 역 | 한상미
발행사항
파주 : 나남, 2014
형태사항
411 p. ; 23 cm
총서사항
사회복지학 총서 103
ISBN
9788930080019 (세트) 9788930087445
주기사항
공역자: 강지나, 우아영, 조혜련, 하지선, 한상미 참고문헌(p. 384-405)과 색인수록
원서명
Institutional ethnography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733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733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제도적 문화기술지 : 왜 또 다른 연구방법인가? / 김인숙
목차

옮긴이 머리말 5
편집자 머리말: 이 책에 관하여 10
머리말 13

제1부 사람을 위한 사회학 만들기

제1장 여성들의 입장: 체현된 앎 대 지배관계 25
1. 여성들의 입장과 지배관계 29
2. 젠더와 지배관계의 역사적 변천 35

제2장 ‘사회’를 알아가기: 대안적 설계 55
1. 객관화된 사회관계를 재조직화하기 57
2. 제도적 문화기술지란 무엇인가? 다른 연구접근과의 대조 59
3. 경험과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문제틀 73
4. 결론 80

제2부 사회에 관한 존재론

제3장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존재론 85
1. 사회에 대한 존재론 89
2. 제도, 언어, 그리고 텍스트 117
3. 결론 119

제4장 언어: 주관성의 조정자 123
1. 언어를 사회적인 것으로 재개념화하기 125
2. 경험 기반 영역과 텍스트 기반 영역 143
3. 결론 157

제3부 문화기술지로 제도에 접근하기

제5장 텍스트, 텍스트-독자 대화, 제도적 담론 161
1. 텍스트-독자 대화 166
2. 제도적 담론에 대한 텍스트-독자 대화 177
3. 제도적 조정자로서의 텍스트 190
4. 결론 192

제6장 대화와 자료로서의 경험 197
1. 대화로서의 경험: 문제 199
2. 대화로서의 경험에 대한 대안적 이해 203
3. 경험, 언어 그리고 사회적 조직화 206
4. 자료와 대화하기 217
5. 결론 227

제7장 일 지식 231
1. 대학 성적과 학점 매기기에 관한 일 지식: 하나의 짧은 문화기술지 232
2. 일 지식: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자의 자료 238
3. 일 지식 240
4. 제도적 포획의 문제 249
5. 일 지식 모으기와 지도 그리기 252
6. 결론 258

제8장 텍스트와 제도 261
1. 텍스트는 어떻게 조정하는가 269
2. 결론 286

제9장 힘, 언어, 그리고 제도들 289
1. 제도적 실재의 형성 296
2. 규제적 틀 302
3. 결론 313

제4부 결론

제10장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기반과 전망 319
1. 우리의 연구기반은 어디인가? 320
2.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확장 331
3.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집합적 작업 341

옮긴이 해제 제도적 문화기술지: 왜 또 다른 연구방법인가? 347

용어사전 373
참고문헌 384
찾아보기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