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활정책 아카이브

  1. 메인
  2. 자활정책 아카이브
  3.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

IPA분석을 통한 자활사업 참여자가 지각하는 자활서비스 질에 관한 연구

카테고리
일반
제공처
KCI
다른언어제목
A Study on the Quality of Self-Support Service Realized by Participants in Self-subsidizing Projects using IPA Analysis
키워드
IPA분석, 자활사업, 자활서비스 질, 참여자 지각
저자
이진열
출판사
한국공공사회학회
발행연도
2018.
페이지
149-185
URL
활용동의
미동의
요약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가 지각하는 자활서비스 질을 분석하여 자활사업 참여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자활서비스 질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저소득층의 탈수급과 탈실업 달성을 위해 중요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있는 지역자활센터에서 참여하고 있는 자활사업 참여자를 25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월 15일부터 2월 9일까지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질 차이검증 결과 성별은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에, 연령은 공감성과 유형성에, 학력은 유형성에, 보장형태는 확신성과 공감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을 나타났다. 둘째, 자활사업 참여자가 지각하는 서비스 질 분석결과 노력집중화 지향에 확신성의 ‘나에게 서비스에 대한 안정감 제공’, 공감성의 ‘나의 최상의 이익을 위한 노력’, 유형성의 ‘나에게 보다 질 높은 환경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노력’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성, 반응성, 공감성에 비해 확신성과 유형성에서 자활서비스 질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자활서비스가 필요하다. 둘째, 자활사업 참여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실무자 증원을 통해서 현재의 역할을 축소시키고 대신 업무의 전문화를 실현해야 한다. 셋째, 자활사업 실무자만을 위한 역량강화 보수교육과 지역자활센터에서 운영 중인 자활근로 사업비가 증액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