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도서관에 없는 자료 어떻게 볼 수 있을까?
상호대차 서비스 및 협정 PC 활용 안내
필요한 자료가 우리 도서관에 없을 때 활용하기 좋은 정보 서비스가 “상호대차”이다. 상호대차란 자관이 소장하지 않은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타 도서관에 대출 또는 복사 신청을 하여 이용하는 정보 서비스를 말한다.
원내 구성원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상호대차 과정에서 발생하는 우편 비용은 기관이 부담한다.
1. KERIS 상호대차 (riss.kr)

KERIS 상호대차는 RISS(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해 단행본 및 아티클의 대출·복사를 신청하는 서비스이다. 다수의 대학도서관 및 연구기관 등이 협력 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어 다양한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호대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개인이 회원 가입해야 한다. 이때 반드시 소속기관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으로 입력해야만 기관회원으로 적용되어 개인 비용 부담 없이 상호대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단행본 상호대차 신청
RISS에서 검색이 되는 단행본 중에서도 복사/대출이 가능한 기관이 있는 경우만 상호대차 신청을 할 수 있다. 개인이 직접 신청하거나 도서관 상호대차 담당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단행본은 1인 최대 3권까지 신청 가능하며, 대출 기간은 도착 확인일로부터 15일이다. 도서 수령 및 반납은 원내 도서관을 통해 진행한다.

검색 상세 페이지에서 도서 대출 신청 버튼을 누른 후 팝업창을 통해 기본 서지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공 요청을 할 도서관을 목록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때, 1순위 도서관에서 제공 불가 처리를 할 경우를 고려하여 최대 5개의 제공도서관을 모두 선택하는 것이 좋다.
▒ 단행본 상호대차 유의 사항
상호대차는 타 기관에서 대출한 도서이므로 반납일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도서를 더 이용하고 싶다면 반드시 연장 신청을 해야한다.
연장은 단 1회만 가능하며 연장 기간은 7일이다. 반납일 기준 2일 전까지만 연장 신청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기한 내에 도서관 담당자에게 연장 요청을 하거나 직접 연장 신청하여 이용할 수 있다.
▒ 아티클 복사 신청
타 기관에서 구독 중인 전자저널은 아티클 단위로 복사 신청을 할 수 있다. 신청은 단행본 신청 방식과 동일하다. 아티클의 자료 발송 방법은 총 5가지로 다양하지만 “기관 전송”을 선택해야 한다. 기관전송은 1~2일 내 전자 전송 방식을 통해 해당 기관에 전달되므로 빠르고 쉽게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저작권 정책상 PDF 파일 형식의 제공은 불가하며 인쇄본 형태로만 받아볼 수 있다.
▒ FRIC(외국학술지지원센터)을 활용한 아티클 신청
FRIC은 국내 10개 대학에 10개의 주제 분야를 각각 달리하여 해당 기관에서 각 분야의 외국 학술지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아티클 복사 신청과 대체로 동일하지만 무료로 제공된다는 차이가 있다.
FRIC(www.fric.kr) 또는 RISS(www.riss.kr)에서 찾고자 하는 논문을 검색한 후 검색 결과의 상세정보 ‘소장기관’ 리스트에 “[무료]00대학교 외국학술지지원센터”가 있다면 복사 신청이 가능하다. 제공 가능한 제원센터에서 신청 승인을 하면 1~2일 내에 무료로 자료를 받아볼 수 있다. 단, 저작권 정책상 PDF 파일 형식의 제공은 불가하며 인쇄본 형태로만 받아볼 수 있다.
□ 간단하게 보는 KERIS 상호대차 이용 방법
① RISS 회원 가입을 한다. (반드시 소속기관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으로 지정)
② RISS에서 필요한 자료를 검색한다.
③ 복사/대출 버튼을 눌러 제공 요청 기관을 설정한 후 상호대차를 신청한다.
④ 신청한 자료가 소속 도서관에 도착하면 직접 수령
2. ScienceON (scienceon.kisti.re.kr)
ScienceOn은 KISTI에서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 국가 R&D정보, 연구데이터 등의 지식 인프라를 한 곳에 구축해놓은 지식 플랫폼이다. 과거 “NDSL”이라는 이름으로 상호대차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KISTI의 정보 서비스를 통합하여 “ScienceOn”으로 재탄생했다.
과학기술 분야에 특화된 지식 플랫폼이기 때문에 보고서나 논문뿐만 아니라 특허나 최근 동향 자료 등을 함께 찾아볼 수 있다.
KERIS 상호대차와 마찬가지로 개인이 회원가입을 할 때 필수적으로 소속기관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으로 설정해야 원활한 상호대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아티클 복사 신청
ScienceOn에서 아티클 복사 신청을 하는 방법은 KERIS 상호대차 신청과 유사하다. 자료를 검색하고 무료 원문이 공개되지 않는 경우 원문복사 신청을 하면 된다.
제공기관 신청 순위는 자동으로 설정이 되기 때문에 신청자가 별도로 선택할 필요는 없다. 또한 협력 기관회원의 경우자동으로 결제방식이 후불로 설정이 되고 비용은 기관에서 부담한다. 그러므로 회원가입을 할 때 반드시 소속기관을 제대로 설정하고 관리자의 승인을 받은 후 이용해야 한다.
3. 국회도서관 협정 PC 활용
앞서 소개한 상호대차 서비스 외에도 협정기관 인증 PC를 활용하면 무료로 자료를 열람할 수 있다. 우리 기관은 국회도서관과 협정을 맺었기 때문에 국회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원내 PC에서 무료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지정된 IP에서만 접근이 허용되기 때문에 연구원 도서관 내에 비치된 이용자 PC에서만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원문 전체를 열람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복사는 저작권 정책상 일부분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