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과제사업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관한 종합 연구 Ⅱ

발간
  • 구분 기초보장
  • 연구기간 20200101 ~ 20201231
  • 연구책임자 정해식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한국인의 행복 수준을 설명하는 이론모델을 수립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이를 위해 총 3년의 연구기간을 설정하고 각 년차별로 다음의 연구목적을 설정하였음.
  - 2019년 1차 년도는 한국인이 생각하는 행복의 위계적 조건을 밝히고자 함. 이는 1) 생활 여건의 토대에서, 2) 개인의 심리적 역량이 갖춰지는 상태의 3) 행복 수준을 설명하는 모델이 유의성을 가지는지를 밝히는 것임. 특히, 이러한 행복의 위계적 조건이 청/장년, 노인 등 인구집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 주목하고 있음.
  - 2020년 2차 년도는 사회구성원의 행복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측면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함. 한 개인이 경험하는 생애주기별 사건과 이에 대응하는 개인 및 제도의 대응 방식에 따라 행복 수준이 달라지는 지를 분석함.
  - 2021년 3차 년도는 삶의 질(주관적, 객관적)과 행복 수준을 국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주요연구내용】
□ 한국인의 객관적 행복 요인 분석
  - 생애주기 사건별 필요 자원(resource) 도출
  - 필요 자원의 미충족과 행복 수준의 관계 분석
□ 행복수준의 국제 비교
  - 연령집단별 행복 수준의 국제 비교
  - 사회구조(빈곤, 불평등 수준)과 개인의 행복에 대한 다수준 분석
  - 사회제도(소득구성 등)와 개인의 행복에 대한 다수준 분석
□ 질적 사례분석
  - 생애주기별 위험과 각 국가의 제도적 대응이 개인의 행복감,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로 분석
  - 사회제도적 불안과 행복감 저하의 경로 도출


【기대효과】
□ 국민행복이라는 정부 목표의 개념적·이론적 이해 도출
  - 한국인의 행복수준을 진단하는데 그치지 않고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을 부각시킴으로써, 한국인의 행복 함수를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
  - 행복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 방향임을 제시하여, 정책 추진의 일관성을 확보
□ 국민행복 증진을 위한 다각적이고 구체적인 실천방법의 이해에 기여
□ 정부와 연구기관에 기초 자료 제공
  -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관한 기초조사 자료 제공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