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과제사업

(2005~2006)_EQ-5D를 이용한 건강수준에 대한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발간
  • 구분 보건의료
  • 연구기간 20051221 ~ 20061020
  • 연구책임자 강은정



발주기관: 보건복지부(건강증진연구사업지원단)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만성질환의 증가와 수명의 증가로 사망률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포괄하는 건강지표의 필요성이 대두됨. 건강수명은 인구집단 혹은 특정 질병을 가진 집단의 건강수준을 측정하는 지표임. 이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건강관련 삶의 질 도구들을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에서 적용하는데, 이러한 삶의 질 도구의 효용 가중치를 구해야 건강수명을 산출할 수 있음.


연구 목적
- 2005년 국민건강ㆍ영양조사에서 조사된 EQ-5D는 건강수명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건강관련 삶의 질 도구로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EQ-5D의 효용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이 목적임.


연구내용
- 한국형 EQ-5D의 효용 가중치를 산출
- 영국, 일본 등 외국의 EQ-5D 효용 가중치와 비교


연구방법
- 표본 설계
- 조사 내용
- EQ-5D: 걷기, 몸단장, 일상생활, 통증/불편감, 불안/우울 등의 5가지 문항으로 구성됨. 각 문항은 위중도에 따라 3개의 수준으로 측정됨.
- 효용 가중치 측정 : Visual Analogue Scale (VAS) 과 Time Trade-Off (TTO)
- 사회경제적 특성 대상
- 분석 방법
- 회귀분석 모델 : 영국과 일본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모델로서 결과의 비교를 위해 동일한 모델을 적용할 것임.
- 추정 방법 : 동일한 건강수준에 대해서도 개인에 따라 전반적으로 평균보다 높거나 낮게 가치를 부여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개인간의 이러한 편향을 고려할 수 있는 random effect model이나 fixed effect model이 적당하다고 보여짐.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인구집단 혹은 특정 질병집단의 건강수준 측정
- 각종 건강관련 프로그램 혹은 치료 등의 효과를 환자 혹은 이용자의 효용(utility)으로 정의하여 QALY로 환산하였을 때 비용에 비해 얼마나 많은 QALY를 얻을 수 있는가를 파악하여 가장 비용-효용적인 프로그램 혹은 치료방법을 찾을 수 있음.
- EQ-5D의 효용 가중치는 이론적으로 -1에서 1의 범위 안에 속함. 각 질병을 가진 인구집단의 EQ-5D 점수를 비교하면 어떤 질병이 인구집단에게 가장 부담이 되는지를 알 수 있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