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국정과제인 정부 3.0 추진을 위한 공공데이터 개방?공유 전략에 따라, 보건복지통계정보 통합 관리운영을 위한 기능 고도화 및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방안을 마련하고, 중장기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보건복지부와의 협업을 통한 지속적 추진이 필요함
□ 이를 위해서는, 보건복지데이터포털 기반으로 보건복지 영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한 통계정보 분류 및 체계화, 공간정보 연계 및 시각화(visualization) 관련 서비스 개발 및 고도화를 통한 보건복지통계정보에 대한 수요자의 활용도 제고가 필요함
□ 이와 더불어, 사회보장 빅데이터 등 다양한 마이크로데이터 기반 정책대상 설계 및 발굴, 정책효과 분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EU 등 국제기구에서도 이와 관련된 연구 및 플랫폼 구축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기존의 보건복지데이터포털 기반 마이크로데이터 관리 및 제공, 사회보장통계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와 더불어, 공간정보 연계 및 시각화, 검색 및 추천 시스템 관련 연구를 통한 서비스 개발 및 고도화를 추진하고자 함
【주요연구내용】 □ 보건복지 분야 마이크로데이터 및 매크로데이터 통합관리 제공서비스 체계 구축 및 운영 (지속)
□ 사회보장통계 주요 영역별 통계지표 및 메타정보 제공 (지속)
□ 보건복지 분야 해외 마이크로 및 매크로데이터 메타정보 및 링크 서비스 제공 (지속)
□ 공간정보 연계 및 데이터 시각화 및 서비스 고도화, 수요자 맞춤형 보건복지통계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검색 기능 및 추천시스템 개선 및 고도화
□ 마이크로데이터 기반 정책 설계 및 집행을 위한 parameter DB 구축, 정책지표 DB 산출 및 정책효과성 분석 및 예측 등 정책 시뮬레이션 플랫폼 추진전략 연구 및 구축
【기대효과】 □ 보건복지 분야 국내 마이크로데이터 및 매크로데이터 통합 관리체계 구축 및 이용서비스 운영을 통해, 연구 성과와 연계된 대국민 보건복지통계정보 서비스 제공 및 정책 추진에 필요한 통계자료를 적시에 제공함으로써 학술적 연구 및 정책 수립에 기여
□ 보건복지 분야 연구결과 확산 및 통계정보 이해도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한 수요자 맞춤형 보건복지통계정보 서비스 제공
□ 조사데이데와 사회보장 빅데이터 등 마이크로데이터 기반 정책지표 DB 및 정책 시뮬레이션 플랫폼 단계적 구축을 통한 디지털 정보의 정책적 활용방안 모색

|